韓美日 포함 ‘IPEF’ 회원국 전격 합의
자원 무기화땐 공동 대응
다급한 中, 韓에 협력제안

◆ 미중 공급망 대결 ◆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이 주도한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가 27일(현지시간) ‘공급망 협정’을 처음으로 타결했다. 한·미·일 3국을 비롯해 호주·인도·싱가포르·인도네시아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14개 회원국이 세계적인 공급망 위기에 공동 대응하기로 전격 합의한 것이다. 이를 계기로 대중 압박 수위가 한층 더 높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 상무부는 26일(현지시간)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에서 한국 정부에 반도체 공급망에 대해 협력하자고 제안했다. 반도체 강국인 한국이 미국의 대중국 디커플링 공세에 동참하는 데 대해 중국 측이 매우 곤혹스럽다는 입장을 피력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과 미국 등 14개국은 27일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IPEF 장관회의 후 공동성명을 내고 공급망 협정 타결을 선언했다. 지난해 5월 출범 이후 IPEF 회원국 간 첫 번째 합의이자 공급망 분야의 첫 국제 협정이다. 이번 협정은 크게 △공급망 위기 극복을 위한 정부 공조 △공급망 다변화·안정화를 위한 노력 지속 △공급망 관련 노동환경 개선 협력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번 협정 타결에 대해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은 “공급망 공조 분야는 특정하지 않았지만 반도체와 핵심 기술에 유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IPEF 공급망 합의는 선진·개도국뿐 아니라 자원 부국과 기술 선도국 등 다양한 경제적 특성을 가진 국가가 함께 참여해 상호 보완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미·중 패권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이번 공급망 합의가 이뤄지면서 중국의 반발이 거세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최근 미국을 방문한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은 IPEF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다만, 지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전방위 중국 압박’이라는 결과를 도출해낸 만큼 이번 공급망 합의는 ‘대중(對中) 압박’보다는 공급망 안정화에 초점을 둬 공개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에서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IPEF는 지난해 5월 공식 출범했다.

[송광섭 기자 / 워싱턴 강계만 특파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