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글일 때가 그립다 결혼을 하고 나면 남자든 여자든 서로 적응하느라 스트레스를 무척 받는다. 특히 여자들은 아주 사소한 것들을 트집 잡아 물고 늘어지는 것 같다. 남편들이 보기엔. 양말 세탁기 안에 넣지 않는다고 어디가 덧나는 것도 아니고, 신문 보다가 좀 어질러놓는다고 집안이 폭격 맞는 것도 아니다. 그런데도 밥 먹을 때 소리 내지 마라, 샤워할 때는 바닥에 물 흘리지 않게 반드시 욕조에서 해라, 담배는 집 안에서 피우지 마라, 밤에 꼭 샤워를 하고 머리를 감고 자라, 속옷은 꼭 하루에 한 번씩 갈아입어라 등등. 신혼 초에 이미 말발로는 여자를 당할 수 없다는 걸 실감한다. 내가 왜 결혼했을까, 이 여자는 나와 안 맞는다 등등의 생각이 들기 시작한다. 그렇다고 모두들 외도로 이어진다는 건 아니지만 충분조건은 주어지는 셈이다. 위에서 든 예들은 아주 사소한 예들이다. 자식이 태어나서 아파도 회사에 가야 하고, 휴일에는 꼼짝없이 가족을 위해 봉사해야 하는 등의 생활이 반복되다 보면 총각시절이 그리워진다. 남편에게도 방이 필요하다 처음 결혼을 하면 방이 두 개일 경우 남편 방이 하나 주어진다. 책상 하나 달랑 놓은 공간이라 할지라도 한 번씩 혼자 있고 싶을 때 내 몸뚱이 하나 온전하게 뉠 수 있는 방이다. 그러다 아이 한둘 낳고 이사 두어 번 하다 보면 남편의 방은 오간 데 없이 사라진다. 어느 사이 집안은 아내와 아이들만의 공간으로 바뀌어버린다. 나도 방을 하나 달라면 그게 무슨 말이냐는 듯이 뜨악하게 쳐다본다. 이 좁은 집에서 그런 말이 나오느냐는 듯이 째려보거나, 그 나이에 공부를 할 것도 아니고, 기껏 해봐야 인터넷 서핑인데 이상한 거 훑고 다니려고 그러는 거 아니냐고 면박이나 당하기 일쑤다. 이렇듯 집에서 책상을 가진 샐러리맨은 없다. 신문이라도 볼 수 있는 장소는 욕실 변기 위거나 낡은 소파 위다. 그나마 소파를 강아지에게 점령당하지 않았다면. 아내에게는 집이 자신의 보금자리로 여겨지겠지만 남편들도 그럴까. 아내 위주로 재편된 공간을 보며 남편은 스스로 찬밥이라는 걸 느낀다. 마흔쯤 되면 남자들은 심각하게 자신이 가정 내에서 어떤 존재인가라고 묻는다. 그러다 누군가 자신에게 관심을 가져주면 그게 고마워서 기꺼이 바람에 흔들리는 등불이 된다. 짓밟힌 남자로서의 자존심도 되찾고, 내 집 같지도 않은 집에 들어가지 않을 핑계로 훌륭하지 않은가. 누구나 불륜을 꿈꾼다 미국의 폭스 텔레비전은 결혼을 굳게 약속한…